Study/Network

OSI 7계층이란?

ujam 2021. 8. 26. 23:06
728x90
반응형

OSI 7계층

OSI란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개방형 시스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OSI 7계층은 네트워크를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표준 계층 중에 하나입니다.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들을 단계별로 파악하기 수월하게 하기 위해 계층을 나눴습니다.


 

OSI 7계층

 

 


1계층 - 물리계층(Physical Layer)

물리계층은 7계층 중 최하위 계층입니다.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며, 비트 0과 1의 통신 단위로 통신합니다.
(on, off의 전기적 신호 상태)
대표적인 장비로는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이 있습니다.

신호로 변환하여서 전송하는 계층입니다

 


2계층 - 데이터 링크계층(DataLink Layer)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두 장치 간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합니다.(Point to Point)
전송 단위는 Frame입니다.
물리주소인 MAC주소입니다.
대표적인 장비로는 브리지, 스위치 등이 있습니다.

물리적 매체에 패킷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하는 계층입니다(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IP주소를 제공해주는 계층입니다.
노드들을 거칠 때 마다 라우팅 해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대표적인 장비로는 라우터, L3 스위치, IP 공유기 등이 있습니다.
전송 단위는 Packet입니다.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연결하는 계층입니다(논리적 주소 사용)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송,수신자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에러검출 및 복구, 흐름제어, 중복 검사 등을 담당합니다.
대표적으로 TCP, UDP 프로토콜이 해당합니다.
전송 단위는 Segment입니다.

서비스를 구분하고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Layer)
통신 장치 간 동기화, 에러 발생 시 복구 명령들을 일괄적으로 다룹니다.
대표적으로는 RPC, Socket 등이 있습니다.

응용 프로그램 간 연결을 지원해주는 계층입니다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지 정하는 계층입니다.
MIME 인코딩, 암호화 등의 동작들이 해당합니다.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데이터 압축, 인코딩 등의 동작들을 다룹니다.

데이터의 변환 작업을 하는 계층입니다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이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을 뜻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HTTP, FTP 등의 프로토콜이 해당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계층입니다





항상 부족한 부분이나 피드백할 부분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수정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Stud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TLS이란?  (0) 2021.12.10
프록시(Proxy)란?  (0) 2021.09.14
HTTP 상태코드 정리  (0) 2021.08.06
TCP 3-way handshake와 4-way handshake 란?  (0) 2021.08.05
REST API란? 특징 및 규칙 그리고 장단점  (0) 2021.08.04